유치
초등
중학 ∙ 고등
T셀파몰
연수원
천재교과서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이벤트
사이트맵
T셀파
검색
계기교육
전체메뉴
교과학습
평가자료
창의적 체험활동
쉬는 시간
특별 학습관
수업 연구소
T셀파 초등 전체 서비스
교과학습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MY T셀파
내 교과 설정
내 핀 메뉴
내 수업 자료실
내 멤버십
문의 내역 및 답변
회원 정보 수정
회원 탈퇴
평가자료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고객센터
공지사항
이벤트
문해력 숏폼 챌린지
T셀파 안내
주요 서비스 안내
자주묻는질문
1:1문의 및 제안
사이트맵
창의적 체험활동
계기교육
경제·금융교육
안전·건강교육
민주시민교육
정보통신교육
인성교육
인권/다문화/장애이해교육
역사/시사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독도교육
통일 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인공지능(AI)교육
철강교육
쉬는 시간
학년별 추천 자료
애니메이션
안전한 생활
이야기/동화
사회랑 역사랑
재미있는 수학
알쏭달쏭 과학
학습송/동요
우리말 탐구
음악 감상실
창의 미술 놀이
어휘 쇼츠
쌤채널
교과자료
창의적 체험활동
학급운영
전체채널
서비스 안내
특별 학습관
온라인 수업 자료실
영어 원서 도서관
애플 넘버스 교실
ZEP 메타버스 교실
H!STORY(역사)
디지털 과학실험
AR · VR 특별관
3D 체험관(수학, 과학)
교과 활동 돋움 자료
온 작품 읽기(국어)
지역화 자료실
랜선 과학 실험실(과학)
음악 교과서 음원·악보
천재 학습백과
교재 자료실
명화 미술관
SW 사용법 익히기
수업 연구소
수업연구자료집
월별 테마 수업
수업채널T
지식채널 T-VIEW
지식 캠퍼스
학급운영 TIP
교실운영·클립아트
월간 초등 체육(매거진)
T talk (매거진)
자료요청
화살표
Quick menu
아이디 저장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
로그인
내 핀 메뉴
우리반 시간표
우리반 T셀파
알림장
new
클래스 핑퐁
클래스 링크
클래스 보드
new
판서
집중벨
깜깜이
발표도우미
타이머/초시계
TOP
인터넷 익스플로러 종료 안내
일주일 보지 않기
교과 학습
1학기
2학기
핀 메뉴 삭제
핀 메뉴 등록
교과학습
2학년
수학 2-1
수학 2-1
내 교과서 등록
과목 공통 자료
진도표
연간 지도 계획
성취 기준
하루 시리즈 영상
오답 베스트 5
1
2
3
4
5
6
인정
국어-가
국어-나
수학
봄
여름
안전한 생활
단원별 보기
성취기준별 보기
자료 모아 다운받기
2수01-02
일, 십, 백, 천의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을 이해하고, 네 자리 이하의 수를 읽고 쓸 수 있다.
2수01-03
네 자리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수의 계열을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2수01-05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2수01-06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2수01-07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한다.
2수01-08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2수01-09
□가 사용된 덧셈식과 뺄셈식을 만들고,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수01-10
곱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곱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2수02-02
쌓기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입체도형의 모양을 만들고, 그 모양에 대해 위치나 방향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2수02-03
교실 및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관찰하여 삼각형, 사각형, 원의 모양을 찾고, 그것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꾸밀 수 있다.
2수02-04
삼각형, 사각형, 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그 모양을 그릴 수 있다.
2수02-05
삼각형, 사각형에서 각각의 공통점을 찾아 말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오각형, 육각형을 알고 구별할 수 있다.
2수03-05
길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cm와 1m의 단위를 알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단위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2수03-07
여러 가지 물건의 길이를 어림하여 보고, 길이에 대한 양감을 기른다.
2수03-08
구체물의 길이를 재는 과정에서 자의 눈금과 일치하지 않는 길이의 측정값을 ‘약’으로 표현할 수 있다.
2수05-01
교실 및 생활 주변에 있는 사물들을 정해진 기준 또는 자신이 정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개수를 세어보고, 기준에 따른 결과를 말할 수 있다.